투자노트
-
보글헤드 관점으로 보는 한 주간의 투자노트(70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5. 4. 18. 07:05
2025년 4월 3째주, 미국 경제 겉보기엔 혼란스럽습니다.소매 판매는 정체되고 실업률은 낮지만 고용 증가는 둔화 중입니다. 이런 시기에 현명한 투자자는 무엇을 봐야 할까요?존 보글의 철학에 따라 '소음'을 걷어내고 진짜 경제의 흐름을 함께 짚어봅니다~ 미국 경제 주요 뉴스 요약4월 소매 판매 지표(4/16): 예상보다 강한 0.4% 증가고용시장 둔화 조짐(4/17): 실업수당청구건수 22만3천명, 지난주 대비 4천명 증가연준 위원 발언들: 인플레이션 재가속 우려로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은 후퇴 이쯤하고,,,보글헤드 관점에서 보는 메세지는 이렇습니다. 1. 경제 데이터는 롤러코스터처럼 오르락내리락이번 주 소매판매 지표가 예상보다 좋다고 해서 '소비 폭발!' 이라고 해석하면 안 됩니다.많은 소비가 고소..
-
달러가 무너진다? 관세전쟁의 충격파 (69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5. 4. 13. 11:00
미국은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다. 이 말, 그냥 자극적인 표현이 아닙니다? 실제로 지금 시장에선 미국 달러와 국채가 동시에 흔들리는 초유의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과거 위기 때마다 믿고 달러로 도망쳤던 투자자들이 이젠 달러를 떠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럼프형... 예상 했던 반응인거지?! 그치?! 달러 추락의 신호탄, 트럼프의 관세정책무역전쟁이 다시 불을 붙이자, 시장은 일제히 반응했습니다. 달러인덱스: 1년 9개월 만의 최저치 찍었습니다.유로/엔화: 급등> 달러 약세 반사 이익미국 국채 금리: 급등> 국채 가격 하락안정자산인 달러와 미국 국채가 동시에 떨어지는 현상,,,이건 매우 이례적인 상황입니다.투자자들이 미국 자체를 리스크 요인으로 보기 시작했다는 뜻입니다. 시장이 두려워하는 건 트형의 오..
-
관세. 하나올리고 하나더 때려(68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5. 4. 6. 11:10
맨발의 기봉이가 떠오르는 이번 트럼프 관세 폭탄... 여러분 포트폴리오 안녕하십니까... 설마 또? 네 이번에도 트럼프가 전면적인 관세 폭탄을 터뜨렸습니다.모든 수입품에 10% 관세, 일부 국가에는 추가적인 상호 관세 까지.그리고 시장은 즉각 반응했습니다. 이틀 동안 무려 10프로나 폭싹빠졌수다?! 근데 생각해보면, 이런 뉴스는 처음이 아닙니다?과거에도 관세 뉴스가 나올 때마다 시장은 흔들렸지만 그게 꼭 장기적인 하락으로 이어졌던 건 아니었습니다.오히려 몇 달 뒤에는 상승한 경우도 많았으니까요.그럼 이번엔 어떨 것인가...과거와 같은 흐름이 반복될까, 아니면 진짜 위기가 될까? (뭐 전문가들 전망대로일려나...) 자 여기서 궁금증이 생깁니다?!관세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진짜 문제는 뭘까?솔직히..
-
일파만파 美 경제 위기설, 기회일까 위기일까?(67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5. 3. 30. 09:29
지난주 뉴욕 증시를 보고 있다 드는 단상,,, "이거... 1970년대가 다시 오는 건가?"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관세 카드를 꺼내 들면서 시장은 바짝 긴장한 모습입니다. 그런데 주식을 좀 오래 해본 사람들은 알 겁니다. "관세가 올라가면 물가도 오르고, 기업 이익도 줄어들고, 결국 주가도 떨어진다." 이런 공식이 항상 맞아떨어지지는 않는다는 걸.하지만 요즘 데이터들을 보면 마냥 안심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입니다. 미국 소비자 심리지수가 57.0으로 떨어졌습니다? 이건 2022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인 걸로 아는데... 소비가 둔화하면 기업 매출이 줄고, 결국 주가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겠죠. 여기에 미 연준이 가장 중요하게 보는 근원 PCE 물가지수도 예상을 웃돌면서 "인플레이션은 다시 살아나고 있..
-
소비자 심리 최저치와 달러 약세가 불러올 변화(66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5. 3. 17. 06:21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 예비치는 전월 대비 11% Down, 향후 1년 기대 인플레이션율이 4.9%로 상승....최근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소비자 심리가 최저 수준으로 하락을 보이고 있다죠?!여기에 더해 달러화 약세가 빠르게 진행될 경우 외화RP 투자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해외여행비로 모으고 있는 외화RP 타격 마음이 아픕니다...) 달러 약세와 경제적 영향최근 9주 중 7주 동안 달러가 약세를 보였으며, 이는 지난해 11월 이후의 상승폭을 거의 상쇄한 원인으로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동맹국 지원 축소 정책이 달러화 약세를 불러왔습니다. 이런 와중 트럼프 대통령과 경제 참모들은 미국 제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달러 약세를 선호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달러 약세가..
-
시장 조정기? 스테그플레이션 신호인가? (65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5. 3. 11. 06:50
요즘 미국 시장이 흔들리는 걸 두고 "스테그플레이션 초입 아니냐"는 말이 많습니다. 기술주 급락, 소비 둔화 조짐, 그리고 트럼프발 관세 리스크까지 겹치면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죠. 다루고자 하는 내용을 정리해보면 하기와 같습니다.📌정리 ✅ 트럼프발 관세 리스크 → 수입 물가 상승 → 인플레 압박 ✅ 증시 조정 → AI·빅테크 급락, 공포지수 상승 ✅ 소비 둔화 조짐 → 경기 침체 가능성 확대 트럼프의 경기 부양 카드? "관세 올린다" 트럼프는 미국 경제가 "전환기"에 있다고 평가하면서, 일부 혼란이 있더라도 결국 관세가 경기를 부양할 것이라 주장 중...하지만 이는 단기적으로 물가 상승을 부추길 가능성이 높고 소비자들은 이미 생활비 부담이 늘어나고 있다고 느끼고 있지요... 미국 지못미.....
-
美성장률은 버텼지만 먹구름이 몰려온다?(64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5. 3. 1. 11:58
미국, 스테그플레이션에 빠지다?! 뭐 다들 경제 다루는 콘텐츠를 보시면서 봤을 단어들~ #대공황 #블랙먼데이 지난해 미국 경제는 소비의 힘으로 2%대 성장률을 기록하며 놀라운 탄탄함을 보여줬지만 앞서 언급한 단어들이 난무한 가운데 시장에서는 점점 불안감이 커지고 있죠. 특히 최근의 물가 상승과 고용 둔화 조짐이 동시에 나타나면서 스테그플레이션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성장률은 기대에 부합지난해 4분기 GDP 성장률(잠정치)은 연율 기준 2.3%를 기록개인소비지출(PCE)이 무려 4.2% 증가 3분기(3.7%)보다 더 높아진 수치 보임소비가 여전히 미국 경제의 중심축이라는 점은 긍정적입니다. 소비 심리가 버티는 한 경기 침체 우려는 당분간 제한적일 수 있을거라 봅니다. 물가 불안... Fed의..
-
워렌 버핏, S&P500을 팔았다?(63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5. 2. 24. 07:51
투자계의 전설, 워렌 버핏이 최근 S&P500을 일부 매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이 흔들릴 때마다 "S&P500을 사라!"라고 외치던 그가 이번엔 다른 행보를 보였다. 이를 두고 "이제 시장에 위기가 온다는 뜻인가?"라며 긴장할 수 밖에 없는 반응이 반사적으로 나왔던 한 주였던거 같습니다. 버핏이 S&P500을 줄였다는 건 근래 현금 비중을 늘리기 위해 포트폴리오 조정을 했다고 볼 수 있지만 최근 시장 흐름을 보면, 버핏이 시장을 낙관적으로 보고 있지는 않은 듯합니다. 특히, 성장주 위주의 나스닥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당분간 가치주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유지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한 경제에 즉면한게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소비재가 빛을 발할 시간?이런 상황에서도 돈이 몰리는 곳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