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코드스피치 기록남기기Etc 2025. 7. 15. 18:00
언제나 데이터와 로직을 분리(역할분리)하는 코드를 짜라 > 디버그에 의존하기보다 ● 변수 storage기법(lifecycle중요, scope) ● if문 - 두 가지 존재. optional, shileld(clean code) - else문은 if와 같은 선상이어야 한다(의미) - 제거하는 방법: 선행해서 모든 전략객체가 같은 인터페이스를 갖도록 조정(1. OCP 2. IOC) ● while - recursive 사전에 계획되지 않은 반복 = 반복할때마다 다음 반복을 계산 ● for - iteration 사전에 계획된 반복 = 이미 반복을 어떻게 할지 계획을 세웠다 ● OCP 코드레벨을 수정은 닫고 확장은 열리게끔 짜도록 훈련하라 - 라우터테이블 리터럴({}) 형식으로 분기문 대체 - 라우터는 반드시 m..
-
개발자 원칙My-Book(History) 2025. 7. 14. 08:32
- 제어할 수 없는 것에 의존하지 마라 ● 좋은코드 - 코멘트 지양 - 함수는 함축적x 명시적o - 성능을 우선순위에 두지마라 (대게 최적화가 필요x) (https://wiki.c2.com/?PrematureOptimization)- 유연성 때문에 추상화 함정에 빠지지 말라 ● FIXME: 코드 원작자도 문제가 있음을 인지하고 다른 개발자가 수정해주길 바란다는 의미 ● 기술부채 - 부채 청산의 시작 -> 자동화된 테스트 확보 - 기술부채를 식별하고 파산에 이르지 않게 관리
-
시장은 뜨겁지만, 보글헤드는 조심한다(82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5. 7. 13. 08:42
요즘 미국 주식시장 보면 '이거 너무 잘 나가는데?' 싶습니다?S&P500, 나스닥, 비트코인까지~줄줄이 사상 최고치 경신!!! 엔비디아는 시총 4조 달러 넘겼고,비트코인은 11만 달러 돌파,,, 뚜둥,,, 주변에선 "이럴 때 안 사면 언제 사냐"는 말도 나옵니다하지만 전 요즘 같은 시기에 오히려 마음이 더 무겁습니다? 모든 것이 완벽해 보일 때, 우리는 불확실성을 준비해야 한다.- 존보글 관세 폭탄과 스태그플레이션, 드디어 실체로?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다시 부각되면서,무역 전쟁의 실질적 충격도 현실화되고 있습니다.미국은 지난달 관세 수입 272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4배 증가.윌리엄 프리스트 왈:: “관세는 결국 소비자 가격 상승을 부르고,소비 위축과 스태그플레이션을 유발할 것이다..
-
도메인 주도 설계 첫걸음.My-Book(History) 2025. 7. 11. 13:30
복습이 필요할 당시 나를 위해 끄적끄적,,, ● 도메인 주도 설계: 비즈니스 도메인이 소프트웨어 설계 의사결정을 주도하게 하는 것● 핵심 하위 도메인: 경쟁사와 차별화하기 위한 회사의 전략● 지원 하위 도메인: 업계 경쟁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오픈소스 활용 (기본적인 ETL 작업 및 CRUD 인터페이스) - 외부 솔루션을 연동하는 것보다 자체 솔루션을 구현하는 것이 편하다면 - 정교한 디자인 패턴이나 고급 엔지니어링 기술이 필요 없다.● 일반 하위 도메인: 복잡하지만 경쟁 우위를 수반하지 않으므로 이미 검증된 기존 솔류션 사용하는 것이 좋음● 도메인 전문가: 소프트웨어의 "비즈니스 도메인"에 대한 권위자 (요구사항 수집하는 분석가나 설계자가 아니다) ● 유비쿼터스. 일관성: 오직 하나의 의미를 가져야..
-
보글헤드 투자법: 예측 말고 전략을 지켜라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5. 7. 10. 13:10
지난글이어 파트 two 이어갑니다. 왜 예측에 실패할까요?시장은 논리적이지 않고, 예측 불가능합니다.금리? 환율? 전쟁? → 아무도 정확히 맞출 수 없습니다. 우리를 경제적 자유에 이르게 해준존 보글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시장을 예측하려는 시도는 시간과 돈, 두 가지 모두를 낭비하는 일이다.” 왜 예측하지 말고 ‘전략’을 지켜야 하나?시장은 우상향(But 단기 예측은 불가)S&P500 100년+ 역사:단기엔 50:50 (코인토스), 장기엔 70~80% 우상향중요한 건 ‘시장에 머무는 시간’불확실성은 항상 존재전쟁, 금융위기, 팬데믹, 금리 변동…하지만 시장은 결국 회복^^장기 투자만이 변동성을 이긴다1년 투자 성공률: 60%10년 투자 성공률: 88%+20년 투자 성공률: 100% (S&P500 ..
-
재정 흑자? 주식시장엔 호재일까, 경고일까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5. 7. 8. 10:00
재정 흑자 = 무조건 좋은 거 아닙니다(시작부터 정렬의 붉은색ㅎㅎ) 이렇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정부가 흑자 기록하면 살림살이 좋아지는 거잖아.그러면 당연히 주식시장도 오르지 않겠어? 하지만 이 믿음, 역사에선 계속 깨져왔습니다. 실제로는 어땠을까유?미국이 흑자 재정을 기록했던 시기입니다. 1817–1821 전쟁 지출 감소 + 관세 수입 증가 1819년 불황 1823–1836 보호 관세 + 토지 매각 → 부채 전액 상환 1837년 금융 공황 1920–1930 전후 긴축으로 흑자 전환 1929년 대공황 1998–2001 클린턴 정부 흑자 기조 IT버블 붕괴, 2..
-
아니, 또 최고치라고? (81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5. 7. 6. 05:50
미국 증시 상승 뒤에 숨은 진짜 신호 읽기가무엇인지 궁금한 1주였습니다. 요즘 뉴스 보시면 이런 말 자주 들려옵니다?“S&P500 또 사상 최고치!”“미국 증시, 연일 상승!” 숫자는 오르는데, 마음은 점점 더 불안해지는 시장입니다.✔️ 경기 침체는 멀어졌다는 뉴스✔️ 고용은 좋아졌다는 데이터✔️ 무역 긴장도 완화되고 있다는데… 고용:: 예상 깨버렸습니다?- 6월 고용 증가: 14.7만 건 (예상 11.1만 → 대폭 상회)- 실업률: 4.1% (소폭 개선)-임금 상승: +0.2% (인플 걱정은 덜)- 실업수당 청구: 6주 최저치 아직 미국 노동시장은 ‘튼튼’ 합니다?!웨이링~ 침체 공포는 잠시 스톱인가봅니당 무역 훈풍- 미-베트남 합의- 미-중 대화 재개- 캐나다·인도도 협상 긍정적 또람프라고 불리는..
-
트럼프 유예 카드에 춤추는 시장(80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5. 6. 29. 00:21
무역전쟁, 관세 불확실성, 중동 리스크까지... 이 모든 걸 뚫고 S&P500이 사상 최고치를 찍었습니다! 그런데, 이거 진짜 괜찮은 신호일까요? 아니면 올라갈 만큼 올라간 거 아닐까요? 1. S&P500 역사상 최고점 경신뉴욕 증시가 역사를 다시 썼습니다무역협상 기대감 + 지정학 리스크 완화 = 투자자 심리 개선.여기에 트럼프의 90일 관세 유예 선언이기름을 붓듯 증시 상승세를 이끌었습니다? 2. 대형주는 회복, 중소형주는 부진흐름의 이면을 봐야합니다. 이번 반등은 단순한 기술적 반등이 아닙니다.산업재 같은 경기민감주는 11% 상승,중소형주(Russell 2000)는 -2.6% 하락3. 美경제 과연 괜찮을까요?!분명한 건, 지금까지 나온 경제지표만 보면 분위기는 나쁘지 않습니다.1분기 기업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