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
보글헤드 투자법: 예측 말고 전략을 지켜라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5. 7. 10. 13:10
지난글이어 파트 two 이어갑니다. 왜 예측에 실패할까요?시장은 논리적이지 않고, 예측 불가능합니다.금리? 환율? 전쟁? → 아무도 정확히 맞출 수 없습니다. 우리를 경제적 자유에 이르게 해준존 보글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시장을 예측하려는 시도는 시간과 돈, 두 가지 모두를 낭비하는 일이다.” 왜 예측하지 말고 ‘전략’을 지켜야 하나?시장은 우상향(But 단기 예측은 불가)S&P500 100년+ 역사:단기엔 50:50 (코인토스), 장기엔 70~80% 우상향중요한 건 ‘시장에 머무는 시간’불확실성은 항상 존재전쟁, 금융위기, 팬데믹, 금리 변동…하지만 시장은 결국 회복^^장기 투자만이 변동성을 이긴다1년 투자 성공률: 60%10년 투자 성공률: 88%+20년 투자 성공률: 100% (S&P500 ..
-
재정 흑자? 주식시장엔 호재일까, 경고일까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5. 7. 8. 10:00
재정 흑자 = 무조건 좋은 거 아닙니다(시작부터 정렬의 붉은색ㅎㅎ) 이렇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정부가 흑자 기록하면 살림살이 좋아지는 거잖아.그러면 당연히 주식시장도 오르지 않겠어? 하지만 이 믿음, 역사에선 계속 깨져왔습니다. 실제로는 어땠을까유?미국이 흑자 재정을 기록했던 시기입니다. 1817–1821 전쟁 지출 감소 + 관세 수입 증가 1819년 불황 1823–1836 보호 관세 + 토지 매각 → 부채 전액 상환 1837년 금융 공황 1920–1930 전후 긴축으로 흑자 전환 1929년 대공황 1998–2001 클린턴 정부 흑자 기조 IT버블 붕괴, 2..
-
진짜 장기투자자는 흔들릴 때 의심한다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5. 6. 26. 08:30
지난글에 이어 사람들은 왜 똑같이 손해 보는데 더 아파할까?ETF 사놓고 가만히 있으면 되는 거 아냐? 이런 생각, 누구나 해봤을 겁니다?! 투자의 최대 리스크는‘하락’이 아니라 ‘감정’입니다. 오늘은 전망 이론을 토대로 흔들리지 않는 투자를 이어나itmore.tistory.com 흔들리지 않는 투자를 이어나가 봅니다. 1. ‘믿음’보다 더 중요한 건 ‘의심’입니다우리는 보통 이렇게 말하곤 합니다“나는 이 전략을 믿으니까 괜찮아.”근데 그건 상승장일 때 얘기고,시장이 폭락할 땐 ‘믿음’이 아니라 ‘의심’이 작동합니다.“정말 괜찮은 걸까?”“이거 그냥 남들 따라서 산 거 아니었나?”“내가 무지했던 건 아닐까?”이 순간이 장기투자의 진짜 실력이시험되는 타이밍입니다. 채찍 처럼 매서운 현실의 잔인함,,, ..
-
사람들은 왜 똑같이 손해 보는데 더 아파할까?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5. 6. 24. 04:38
ETF 사놓고 가만히 있으면 되는 거 아냐? 이런 생각, 누구나 해봤을 겁니다?! 투자의 최대 리스크는‘하락’이 아니라 ‘감정’입니다. 오늘은 전망 이론을 토대로 흔들리지 않는 투자를 이어나가고자 합니다. 전망이론이란?불확실한 상황에서 사람들이 의사 결정을 내릴 때, 이익과 손실을 다르게 평가하는 경향을 설명하는 행동 경제학 이론(말이 어렵습니다 하히하) 1. 숫자 앞에서 본심이 드러납니다사람들은 웃긴 게돈을 벌 땐 조용하고,잃을 땐 세상이 끝난 것처럼 반응합니다.(양심이 찔린 1인 ㅎㅎ)+5% 수익: "음, 예상했던 흐름이지."-5% 손실: "내가 뭘 잘못했지...?"재미있는 건,같은 금액이어도 손실일 때 훨씬 더 아프게 느껴진다는 겁니다.이걸 전망 이론이라 부릅니다. - 사람은 이익보다 손해에 더 ..
-
VOO에 올인했다면, 이 질문은 해봤어야 합니다?(feat. 보글헤드)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5. 6. 3. 08:45
지난번 '공급망 붕괴의 시대' Part2 입니다. 실업률이 오르는데 주식은 왜 오를까?(feat.보글헤드) 실업률이 오르는데 주식은 왜 오를까? (feat. 보글헤드)요즘 관세다 뭐다 해서절로 공급망에 관심이 쏠립니다? 그래서 그런지 도서관 이용하는 예약자가 많아 거진 한달만에 받아보게 되었습니다? 워메 게다가 얼마나 책은 또 두꺼운지,,,읽다가 포기itmore.tistory.com 서두에 말씀드려보자면오늘은'공급망 붕괴의 시대' 저서에서 다룬핸리 포드 교훈을 토대로 비판적사고를 길러보려 합니다. 여러분이 투자하고 있는 S&P500, 정말 믿을 만한가요? 요즘 누구나 한 번쯤 들어본“S&P500 사놓고 그냥 잊어라.”그 말, 아주 유혹적입니다하지만 과연아무것도 생각하지 않는 것이 진짜 장기투자일까요?..
-
실업률이 오르는데 주식은 왜 오를까? (feat. 보글헤드)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5. 5. 27. 12:50
요즘 관세다 뭐다 해서절로 공급망에 관심이 쏠립니다? 그래서 그런지 도서관 이용하는 예약자가 많아 거진 한달만에 받아보게 되었습니다? 워메 게다가 얼마나 책은 또 두꺼운지,,,읽다가 포기할뻔 했습니다ㅋㅋㅋㅋ 이걸 언제 다 읽어보라고 올린게냐~생각이 드셨습니까아~? 글서3가지로 요약 해드립니다. 실업률 상승 = 시장 호재라는 역설저임금 구조에 대한 체계적 의존공급망과 노동 착취의 지속 가능성 문제 서론이 길었습니다. 진짜 장기투자자는 이 질문부터 던집니다실업률이 오르는데 주식은 왜 오를까? 많은 사람들이 말합니다.“나는 장기 투자자니까, 단기 흐름에 신경 안 써요.”“그냥 매달 넣고 있어요. 복리 믿어요.” 이럴때일수록 스스로에게 물어봐야 합니다.정말, 구조를 이해하고 있나?세상의 작동 원리를 알고..
-
물가가 오르면 누가 돈을 버는 걸까? (feat. 보글헤드)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5. 5. 21. 06:30
왜 그들만 부자가 되는가?저서를 토대로 다루던비판론적사고로 장기투자에 임하기,,, 미국은 왜 이렇게 시장에 자주 개입할까?(feat. 보글헤드) 미국은 왜 이렇게 시장에 자주 개입할까?(feat.보글헤드)지난 글에 이어 Part2로로마도 한순간에 무너지지 않았다(feat. 보글헤드) 비판론적사고로 장기투자에 임해 봅시다^^! 요즘 미국 정부의 움직임을 보면 한 가지 질문이 떠오릅니다? 응? 이렇게까지itmore.tistory.com 이어 part3 시작합니다. (오늘 다루고자 하는 내용입니다) 물가가 오를 때 누가 이익을 보는가?세상은 점점 더 많은 돈을 찍어냅니다?!정부는 경기부양이라는 이름으로 유동성을 공급하고,그 돈은 특정한 순서를 따라 흘러갑니다.가장 먼저 받는 사람: 정부, 은행, 대기업가..
-
투자 우선순위 9단계(feat. 보글헤드)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5. 5. 13. 13:00
투자를 시작하는데 있어서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이 바로 이겁니다."일반주식 할까요, 연금저축 할까요?""ISA 넣어야 하나요?""카드값 갚고 투자해도 되나요? 이 질문들은 모두 중요한 고민이지만,사실 답은 간단합니다. 투자는 '뭘 사느냐'보다 '무엇부터 시작하느냐'가 훨씬 중요합니다. 오늘은 아래 항목을 토대로세금을 아끼고수익률을 지키고마음 편한 투자의 순서한국 투자자에게 맞게~ 보글헤드 관점으로 다뤄봅니다. 보글헤드 투자 철학은 간단합니다? “수수료 줄이고, 세금 줄이고, 장기적으로 묻어라.” 저같은 영알못 님들과우리나라엔 어떤 세금 혜택 계좌가 있는데?!하시는 분들은보글헤드에서 투자가이드 떠먹여줘도 자체 SKIP 필터 겁니다? 그래서 대한민국 입맛에 맞게 재정리 해봅니다~ 한국형 투자 우선순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