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가가 오르면 누가 돈을 버는 걸까? (feat. 보글헤드)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5. 5. 21. 06:30반응형
왜 그들만 부자가 되는가?
저서를 토대로 다루던
비판론적사고로 장기투자에 임하기,,,
미국은 왜 이렇게 시장에 자주 개입할까?(feat. 보글헤드)
미국은 왜 이렇게 시장에 자주 개입할까?(feat.보글헤드)
지난 글에 이어 Part2로로마도 한순간에 무너지지 않았다(feat. 보글헤드) 비판론적사고로 장기투자에 임해 봅시다^^! 요즘 미국 정부의 움직임을 보면 한 가지 질문이 떠오릅니다? 응? 이렇게까지
itmore.tistory.com
이어 part3 시작합니다.
(오늘 다루고자 하는 내용입니다)
물가가 오를 때 누가 이익을 보는가?
세상은 점점 더 많은 돈을 찍어냅니다?!
정부는 경기부양이라는 이름으로 유동성을 공급하고,
그 돈은 특정한 순서를 따라 흘러갑니다.- 가장 먼저 받는 사람: 정부, 은행, 대기업
- 가장 나중에 받는 사람: 월급쟁이, 연금생활자, 개인 투자자
> 그리고 나! 응?!
돈이 풀리면 먼저 손에 넣은 사람은
아직 오르지 않은 가격으로
자산이나 상품을 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마지막에 돈을 받는 우리는이미 가격이 오른 뒤에 지갑을 열게 되는 구조입니다.
인플레이션은 보이지 않는 세금이며,
부를 소수에게 유리하게 재분배하는 구조적 도구가 되는게 현실입니다.이 구조, 알고 있어야 ‘지키는’ 투자자가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물가가 오르네, 불안하다”며 단기 대응을 고민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질문을 달리 해야 합니다."지금의 시스템은
누구에게 유리하게 작동하고 있는가?"
"나는 그 구조 안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가?"이 질문은 불안을 해소하는 것이 아니라,
판을 이해하려는 시도입니다.
즉, 현상에 반응하기 전에 구조를 꿰뚫어야 합니다.시스템을 바꿀 수 없다면
전략을 바꿔야 한다고 봅니다현실적으로 다들 아시다시피
우리가 중앙은행이 될 수는 없습니다.
통화정책을 바꿀 수도 없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구조 안에서피해자가 되지 않는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오잉?????
그것은 바로~
- 지속 가능하고 구조에 흔들리지 않는 전략
- 단기 유행보다 시스템 자체에 기반한 투자 방식
(대충 뭐 존 보글의 투자철학을 따르자아~~)
복잡한 세상에서 단순함을 지키는 법
인플레이션을 피해가려 단기 수익을 쫓는 순간,우리는 시스템이 만든
의도된 혼란에 말려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진짜 핵심은 이겁니다?!내가 통제할 수 있는 것을 중심에 두고,
장기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전략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1. 낮은 비용
2. 분산된 자산
3. 꾸준한 투자
4. 흔들림 없는 장기 시각이런 원칙은 시장을 예측하지 않고도
구조의 수혜자가 될 수 있는 길입니다.
시장은 늘 시끄럽습니다.
물가, 금리, 환율, 주가...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내가 어떤 시각으로 이 시장을 바라보느냐입니다.
지금 같은 시대일수록
- 군중심리에 휘둘리지 않고
- 본질을 꿰뚫는 사고로
- 내 전략을 지키며
- 시간을 내 편으로 만드는 것
이것이 현명한 투자자의 기본기
존 보글의 투자 철학을 따르는
우리 보글헤드들 아니겠습니까?!
불확실한 시대일수록 원칙을 지켜야 합니다.
철학 없는 투자는 흔들리지만,
철학 위에 세운 투자는 견딥니다.(오 낭만 있는데?ㅋㅋㅋㅋ)
오늘도 원칙을 따르는 투자
그리고 긴 안목을 가진 생각이
내일의 복리로 돌아올 겁니다.반응형'경제적자유 > 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업률이 오르는데 주식은 왜 오를까? (feat. 보글헤드) (4) 2025.05.27 투자 우선순위 9단계(feat. 보글헤드) (3) 2025.05.13 미국은 왜 이렇게 시장에 자주 개입할까?(feat.보글헤드) (5) 2025.05.12 로마도 한순간에 무너지지 않았다(feat. 보글헤드) (6) 2025.05.11 노력과 운, 그리고 투자의 진짜 의미 (2)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