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장 조정기? 스테그플레이션 신호인가? (65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5. 3. 11. 06:50반응형
요즘 미국 시장이 흔들리는 걸 두고 "스테그플레이션 초입 아니냐"는 말이 많습니다. 기술주 급락, 소비 둔화 조짐, 그리고 트럼프발 관세 리스크까지 겹치면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죠.
다루고자 하는 내용을 정리해보면 하기와 같습니다.
📌정리
✅ 트럼프발 관세 리스크 → 수입 물가 상승 → 인플레 압박 ✅ 증시 조정 → AI·빅테크 급락, 공포지수 상승 ✅ 소비 둔화 조짐 → 경기 침체 가능성 확대
트럼프의 경기 부양 카드? "관세 올린다"
트럼프는 미국 경제가 "전환기"에 있다고 평가하면서, 일부 혼란이 있더라도 결국 관세가 경기를 부양할 것이라 주장 중...
하지만 이는 단기적으로 물가 상승을 부추길 가능성이 높고 소비자들은 이미 생활비 부담이 늘어나고 있다고 느끼고 있지요... 미국 지못미... 기업들도 비용 상승 압박을 받고 있다합니다!
> 관세가 높아지면 수입 물가가 오르고, 이는 기업들의 마진을 깎거나 소비자에게 가격 부담을 전가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다시 커질 가능성을 주목해야 합니다.
미국 증시 급락... AI 대장주도 무너졌다
나스닥이 4% 폭락하고, 공포지수(VIX)는 20% 이상 급등했습니다. 엔비디아(-5%), 마이크로소프트(-3%), 애플(-4%), 테슬라(-15%) 등 AI와 빅테크 중심으로 하락세를 보이며 큰 폭풍이 휘젓고 있....
> 그동안 급등했던 기술주들이 과열 조정 구간에 접어든 걸까요? 트럼프발 관세 정책이 AI 및 IT 기업들의 비용 부담을 높일 수 있다는 점도 관과할 수 없는 시점이네요!
소비 둔화 조짐...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최근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가스, 식료품, 의료비 등 전반적인 인플레이션 기대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실업 우려까지 커지면서 소비심리가 악화되는 모습입니다.
> 소비 둔화는 기업 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미국 경제 성장의 핵심인 소비가 흔들리면 경기 침체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가장 주목해야 할 것은 연준(Fed)의 대응과 소비 심리 변화입니다. 올해 시장은 쉽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한 발짝 물러서서 큰 그림을 보는 시점이라고 봅니다.
<<매매일지>>
BND 1주, TIGER미국S&P500 14주 (를) 매수하였습니다.
관세다 뭐다 중국과의 패권전쟁이다 뭐다 미국시장 조정기다 뭐다 필요 없습니다.
이럴때일수록 일관된 STAY THE COURSE 시장 머물기를 보이며 적립매수를 이어나갑니다.
무조건적인 낙관은 좋지 않지만 자유시장경제에서 다시금 미국은 우상향할 것입니다.
동생에게 지금이 기회니 하락세를 보일때 시장에 뛰어들어 너도 노후준비 해야한다고 권해야겠습니다.
(한귀로 듣고 흘려보낼 동생이지만 그래도 동생이니까 하는 심정으로 권해보겠습니다 하하하하)
<<차주 경제>>
2025.03.10 ~ 2025.03.14 ▲2025.03.13(목)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끝맺음은 항상 장투할 수 있는 유익한 글귀로~!
주식시장은 인내심이 없는 자로부터 인내심이 있는 자에게로 돈이 넘어가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워렌버핏반응형'경제적자유 > 지속하자 투자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파만파 美 경제 위기설, 기회일까 위기일까?(67주차) (2) 2025.03.30 소비자 심리 최저치와 달러 약세가 불러올 변화(66주차) (0) 2025.03.17 美성장률은 버텼지만 먹구름이 몰려온다?(64주차) (0) 2025.03.01 워렌 버핏, S&P500을 팔았다?(63주차) (0) 2025.02.24 금시세 급등! 지금이 기회인가?(62주차) (0) 2025.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