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
한계점에 봉착한? 60/40 포토폴리오? (by. Amy Arnott )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4. 6. 12. 08:01
내가 공격적이든 방어투자자이든 반드시 들어봤을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 , 리스크를 최소화 하기 위해 분산하여 포트폴리오를 다각화 하는 것은 수익에 의존하지 않고 장기적 관점에서 내게 부를 안겨줄만한 게 이것만큼 더 확신한 건 없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더불어 근래 연구에의하면 분산 포트폴리오를 꾸준히 지향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를 어떻게 받아드려야 할까요? 포트폴리오 다각화 및 투자 전략에 대한 전문가로서 활동중인 당신에게 여쭙고 싶습니다! 글쓴이Amy Arnott※Amy Arnott:: 내용을 전개하기 앞서 60/40포트폴리오는 주식 60, 채권 40을 의미하며,자산 클래스는 해외 자산, 금, 원자재, 부동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목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Q...
-
영시니어 공부로 보는 경제적 흐름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4. 6. 11. 08:05
"잉? 영시니어? 뭣이쥬?" 1960~1969년생으로 고령자(만 55세 이상)로 분류되지만, 법적 정년을 넘거나 곧 맞이함에도 불구하고 건강하고 활기찬 삶을 유지하며 경제 활동을 이어가고 세대를 지칭합니다.(한국 경제의 새로운 '큰손'으로 떠오르고 있는 세대!) 경제적 특성과 활동영시니어의 경제적 특성은 놀랍습니다. 많이들 여전히 현역으로 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은퇴자도 월 300만 원 이상의 수입을 유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디지털 문화를 경험하고 새로운 플랫폼을 배우는 데 적극적이며, 높은 교육 수준과 경제적 여유를 바탕으로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들을 해주시고 계십니다. 주요 소비 패턴영시니어들의 소비 패턴을 보면, 생필품 외에도 문화·여가 생활에 많은 투자를 이어가고 계십니다 월평균 ..
-
경제적자유, 뱅가드의 철학으로 일궈내다(feat. 보글헤드)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4. 6. 10. 08:00
뱅가드의 철학은 투자자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삼고,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철학은 보글헤드 커뮤니티를 통해 많은 투자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오늘은 뱅가드가 어떤 선한 영향을 끼쳐 미국인들이 경제적 자유를 달성 할 수 있었는지에 초점을 두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존 보글 그는 어떤 철학을 가졌었나요?" 뱅가드 성장의 동력이라고 알려진 논문 中 효율적이고 정직한 운영뱅가드는 가능한 한 가장 효율적이며 정직하고 경제적인 운영을 강조합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주고, 그들의 자산이 안전하게 관리된다는 확신을 제공합니다. 보글헤드들은 이러한 원칙이 장기적인 투자 성공의 핵심이라고 믿고 있습니다.판매 비용과 운용수수료 절감뱅가드는 판매 비용과 ..
-
美 상위 1%의 부와 저소득층의 양극화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4. 5. 29. 07:55
"예전이나 지금이나 부자는 계속 부자일 수 밖에 없는게 현실이다~" 자본주의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이를 무시할 순 없는게 사실입니다. 돈이 곧 행복이라 칭하기 어렵지만 삶의 질을 향상케하는 데 물질이 크나큰 요소임은 부정하기 어려운 만큼 경제적 자유라는 목표를 향해 현재 어떤 양극화를 겪고 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최근 미국 경제는 겉으로는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심각한 양극화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상위 1%의 부유층은 계속해서 부를 축적하고 있는 반면, 저소득층은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고군분투 중인게 현실이죠.... 상위 1%의 부와 경제 불평등미국에서는 상위 1%의 국민이 전체 부의 4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나머지 99%는 전체 부의 60%를 나누어 ..
-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하 기대의 모순(by Michael Kramer)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4. 5. 22. 08:00
많은 전문가들이 인플레이션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며, 연준(Fed)이 예상보다 더 적은 금리 인하를 시행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이에 주식 시장은 높은 인플레이션과 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상승세를 이어나가고 있다는 걸 아실겁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위험을 감수하며 주식에 대한 수요를 유지했기 때문이겠죠? 위 데이터(S&P 500의 상대강도지수)만 봐도 67을 넘어 우호적인 데이터를 보이고 있죠.1928년 이후 34 미만에서 67 이상으로의 전환 사례가 149회 있었습니다. 그러나 가장 최근의 신호는 단 17회의 세션에서만 발생했는데, 이는 좀 더 드문 사건입니다. 더불어 투자지표에 따르면 2023년 11월 후로 3개월 동안 S&P 500이 12% 상승했습니다. 이러한 현상속 주식 시장과 채권 ..
-
학습거리, 세계경제 흐름을 내다보자 Part2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4. 5. 18. 12:15
※기준:: 2024년 5월 현시점을 토대로 작성 IMF는 향후 5년 동안 세계 경제가 저성장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예상보다 경제 회복 속도가 느리고, 저성장이 고착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라 볼 수 있습니다...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IMF는 매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예측합니다. 과거에는 향후 5년 동안 세계 경제 성장률을 4.5%에서 5%로 전망했지만, 코로나19 이후 이 수치는 점차 하락해 현재는 3%대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는 세계 경제가 저성장 기조로 진입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경제 분절화와 탈세계화IMF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경제는 분절화(Divergence)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글로벌 경제가 둘로 쪼개지듯 각 국가의 경제 ..
-
학습거리, 세계경제 흐름을 내다보자 Part1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4. 5. 17. 07:52
최근 세계 경제는 다양한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자본 투입, 노동 투입, TFP 모두에서 하락세를 보이며, 경제 성장 둔화가 가시화되고 있습니다.(흑흑....ㅠㅠ) 이러한 변화의 원인과 그에 따른 영향, 그리고 선진국과 신흥 개도국의 차이점을 내다보며 학습거리로 삼으시길 바라요. TFP란 무엇인가요?!"총요소생산성, 즉 자본과 노동 같은 생산 요소의 투입을 제외한 나머지 생산성 증가를 설명하는 지표를 의미" ※기준:: 2024년 5월 현시점을 토대로 작성 자본 투입 감소세계 경제에서 자본 투입은 점차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는 금융 위기 이후 선진국과 신흥국 모두에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금융 위기 이전에는 신규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현재는 저성장 고착화로 인해 자본 투입의 기여도가 줄어..
-
현 시점 환율과 기준금리 어떻게 바라봐야 할 것인가? (feat. 2024.05)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4. 5. 16. 07:07
최근 한국 환율이 1300원대를 유지하면서 경제 상황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이런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낮추는 것이 맞는 것인지 한발짝 물러서서 조심스럽게 여겨야 할 필요가 있어보이는 게 현 상황이지 않나 싶습니다... 왜냐하면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는 미국보다 2% 낮으며, 이는 국내 저축이 미국으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으며 금리를 낮추면 국내 유동성이 축소되고, 부채가 많은 가계와 기업, 특히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문제가 더 심각해질것이기 때문이죠... 이는 결국 신용 파괴를 촉발시키고 경제 내 유동성을 감소시켜 많은 기업과 가계가 생존하기 어려운 경제를 양산할 것입니다... 파이낸싱(PF)가 무엇인디?! "대규모 프로젝트(예: 인프라, 에너지, 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