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고객만족 개론My-Book(History) 2023. 2. 7. 19:38
📖고객만족 개론 📌결과 지향적 정의 - 소비자가 치른 대가에 대해 적절하거나 적절치 못하게 보상 받았다고 느끼는 소비자의 인지적 상태 -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 등 구매한 이들에 의해 야기되는 경험에 대한 감정적 반응 - 불일치된 기대와 소비자가 소비 경험에 대해 가지고 있던 감정이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발생된 종합적 심리상태 📌과정 지향적 정의 - 소비경험이 최소한 기대되었던 것보다는 좋았다는 평가 - 선택된 대안이 그 대안에 대한 사전적 신념과 일치되었다는 평가 - 소비후 지각된 제품성과 사이의 차이에 대해 보이는 소비자의 반응 📌 고객만족과 불만족의 공식 고객의 기대 > 제품 또는 서비스 = 고객불만 고객의 기대 = 제품 또는 서비스 = 고객만족 고객의 기대 응답성(서비스 마인드) > 확신성(커뮤니케이..
-
수평 조직의 구조(일을 바꾸는 조직 혁신 전략)My-Book(History) 2022. 11. 15. 15:05
1일차 2일차 3일차 4일차 5일차 6일차 7일차 8일차 9일차 10일차
-
2022 in 글로벌인재포럼(2일차)카테고리 없음 2022. 11. 4. 18:12
📌New governance 교육 1. 한국 IBM - P-Tech를 통해 전문대 대학교 진학 및 IBM 인턴십 기회 주어짐 - 연봉은 직급과 무관 & 학벌 차별 존재하지 않는다. 2. 핀란드 교육방식 1) 평등 2) 신뢰 3) 지속적인 혁신 4) 행복감은 협업으로 이어진다 5) 미래스킬 지향 3. 서울대 시흥 많은 대학교가 갖고 있는 자원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몰라 LOW대학교를 시, 군에서 Effet를 보지 못한다 📌빅블러 시대의 인재 - 리트럴 시 인재핵심 = 새로이 읽고 쓰기를 융합하여 활용하는 것. - 미래 인재에게 필요한 역량 엿보기. 1) 뷰자데 역량 필요(익숙한 것에서 새로운 것을 보다) > 내 '업'을 새롭게 정의한다 2) 스스로에게 자문자답 역량 필요 3) 낯선모험 역량 - 연설자들..
-
2022 in 글로벌인재포럼(DAY-1)카테고리 없음 2022. 11. 4. 09:56
📌MZ세대의 공정과 새로운 조직문화 1. 토스 문화는 공정과 신뢰가 핵심이다. - 성과 달성 시 직급과 무관 모두에게 성과금20%지급 - 임원 및 직급별 혜택 존재x - 사생활 질문 절대금지 - 모든 걸 양심에 따라 자율적으로 하며 패널티는 존재하지 않는다 - 위계질서 배척 -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2. 토스 원칙&문화(이미지 참조) - DRI가 확장되는 구조 - 마이크로 매니저를 두지x (신뢰기반) - 평가제도x - 상사에게 잘 보이지 않아도 된다 - 모두가 리더다 3. "고객중심 ↔ 수평조직 ↔ 혁신" 3가지가 쿠팡의 핵심이라 할 수 있죠 1. 지위가 아닌 지식에 권위가 되는 수평적인 조직문화 * 의사결정은 누구나 가능 * 미팅 리딩은 주니어도 주도적이라면 가능 2. 발빠른 성장과 의사결정이 중요 3...
-
-
부자 아빠/가난한 아빠My-Book(History) 2022. 6. 28. 14:24
# 왜 금융지식을 배워야 하는가? 1. 자산과 부채의 차이을 알고 자산을 사라 - 현금패턴을 익히라 [수입계산서] 수입, 지출 [대차대조표] 자산, 부채(남에게 갚아야 할 화폐액) (대차대조표: 자산(경제적 자원)과 부채(경제적 의무), 자본의 잔액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는 양식) *가난한 자 현금흐름 패턴 직장->수입 ->지출 * 중산층의 현금흐름 패턴 직장->수입->부채->지출 * 부자들의 현금흐름 패턴 자산->수입 ※세금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사회보장제도나 건강보험 같은 복지후생 계획이 지불불능 상태에 이를 심각한 도전에 직면해 있음을 알아야한다.
-
린 스타트업My-Book(History) 2022. 6. 28. 14:16
- 린 스타트업이란? 1) 빠른 실행 2)고객 통찰 3)거대한 비전 4)큰 야망 망라하여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새로운 방법을 이야기 하는 것 - 스타트업 *비전: 세상을 바꿀 만한 사업 *전략: 비전 실현을 위해 사업모델, 제품 개발 로드맵, 파트너와 경쟁자의 정의, 고객의 정의 등을 세우는 것 *제품: 전략의 결과물 - 네 가지 질문으로 실험 자체를 제품이 되게 하라 1.고객이 여러분이 풀려는 문제를 인지하고 있나? 2.해법이 있다면 고객이 살까? 3.고객이 그것을 우리 회사에서 살까? 4.우리가 그 문제의 해결책을 만들 수 있을까? - 린 사고: 가치를 고객에게 주는 혜택 - 유효한 학습이 아니면 안 하는 게 낫다. >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내는 활동 - 린 스타트업 성공전략 핵심 ..
-
PM2를 이용하기 전 학습(클러스터, 모니터링)Node.js 2021. 6. 15. 10:11
먼저 PM2가 무엇일까요? PM2는 Node.js 애플리케이션의 프로세스 관리를 위해 사용하며, 아래와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의 예상치 못한 종료 시 자동 재시작 무중단 서비스 Cluster mode Monitoring 노데몬과 같이 소스 수정에 감지하여 자동 리컴파일 하기 ## pm2 start ./ecosystem.config.js --watch 상태 확인 돌아가는 상태를 확인하고 싶다면 status 명령을 사용하면 되고 프로세스 삭제 돌아가고 있는 프로세스를 죽이고 싶다면 delete 명령어에 프로세스 id를 찍어주면 된다. kill로 다 죽일 수도 있다. 클러스터 모드 근데 저렇게 실행만 해서는 별 의미가 없다. 그럼 fork모드로만 실행이 되는데, 그대로 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