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
보호무역주의, 세계 경제의 새로운 변수?(59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5. 1. 19. 08:04
요즘 뉴스에서 자주 들리는 '보호무역주의' 하지만 이게 뭘 의미하는지 헷갈릴 수 있죠.보호무역주의란, 말 그대로 자국의 경제를 보호하기 위해 다른 나라와의 무역을 제한하는 정책입니다.어떻게? 관세를 높이거나, 수입품을 제한하거나, 외국 기업의 활동을 제약하는 방식으로요.왜? 자국 산업을 육성하고 일자리를 보호하려는 의도에서 출발합니다.그런데 문제는 이런 정책이 단순히 한 국가에만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라는 겁니다.IMF(국제통화기금)는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 신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글로벌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IMF의 전망과 그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고, 우리 투자자들에게 어떤 메시지를 주는지 보지죠~ IMF가 발표한 최신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는 여러 흥미로운 지점을 ..
-
트럼프의 어메리칸 퍼스트 (58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5. 1. 13. 07:46
도널드 트럼프가 다시 백악관으로 돌아옵니다. 그의 2기 임기 시작이 불과 며칠 앞으로 다가오면서, 국제 사회는 긴장 상태에 돌입했습니다. 트럼프의 상징적인 구호인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와 ‘아메리카 퍼스트’는 이미 익숙하지만, 이번엔 더 강경해질 가능성이 커보이죠... 글로벌 무역 전쟁이 다시 시작될까?트럼프의 대표 정책 중 하나는 바로 관세 강화입니다. 특히, 모든 수입품에 10~20% 관세, 중국에는 무려 6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공약은 보호무역주의의 정점을 보여줍니다.그렇다면 문제는 무엇일까요?단기적 효과: 미국의 세수 증대와 제조업 활성화 가능성장기적 리스크: 주요 국가들의 보복 관세 → 글로벌 무역 전쟁특히,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기업들은 IRA(인플레이션감축법)과 반도체..
-
2025년, 미국 경제에서 주목할 3가지 포인트(57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5. 1. 3. 06:47
2025년 미국 경제가 뜨겁습니다. 트럼프 2기의 친기업 정책은 이미 시작되었고, 증시와 소비 시장은 견조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어요. 하지만 모든 게 장밋빛 미래일까요? 숨겨진 변수도 꽤나 많습니다. 올해 우리가 주목해야 할 핵심 요소 3가지를 가볍게 정리해 봤습니다. 1. 친기업 정책, 성장의 촉매제?트럼프 2기는 감세 연장과 규제 완화로 미국 기업들에게 활력을 불어넣으려 하고 있습니다.기업이 돈을 잘 벌면 소비도 늘고, 경제가 성장하는 선순환을 기대할 수 있죠. 작년에 '감세 혜택'을 본 한 중소기업 CEO는 직원 수를 2배로 늘렸다고 합니다. 이런 흐름이 지속된다면, 우리 경제도 큰 파이를 그릴 수 있겠죠. 하지만 이 모든 게 정말 그대로 이어질까요? 2. 증시, 계속 오를까?S&P500은 20..
-
SPLG에서 VOO로 갈아타다(56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4. 12. 22. 10:04
최근 SPLG ETF에서 VOO로의 갈아타기를 고민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여러 관점에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보았습니다. SPLG가 초창기에 러셀 1000 지수를 추종하다가 S&P 500으로 지수를 변경한 점은 장기투자자로서 몇 가지 우려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ETF의 기본적인 투자 전략이 바뀌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좀 더 깊이 고민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음... SPLG 처음엔 괜찮았지만…SPLG가 처음에는 러셀 1000을 추종했었잖아요.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S&P 500으로 바뀌었죠. 이게 장기투자자 입장에서는 꽤나 신경 쓰일 만한 일이에요. 왜냐하면, 이렇게 한 번 지수를 바꾸는 게 결국 ETF의 기본 투자 전략을 바꾸는 거잖아요. 그럼 앞으로 또 지수를 바꿀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생길 수밖..
-
떠들석한 계엄령 이후의 경제(55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4. 12. 16. 08:00
말 많고 탈 많았던 우리의 경제소식 뿐인 한 주였네요.. 여행업계를 예로, 외국에서 한국을 위험국으로 간주하면서 겨울 여행 상품이 대부분 취소되었고 내년에도 수요가 있을지 걱정입니다.방산업계는 물론이고, 외환시장은 더욱 불안정해졌습니다.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도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는 우려가 커졌죠. 이 모든 상황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 정치적 안정이 경제적 안정의 시작사실, 경제가 불안정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정치적 불확실성입니다. 계엄령처럼 정치적인 불안은 곧 경제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첫 번째 해결책은 바로 정치와 경제의 분리입니다. 정치적 갈등이 경제를 위협하지 않도록, 여야가 협력하는 모습..
-
매주 고점을 경신하는 S&P500 (54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4. 12. 8. 11:00
요즘 한국 증시를 보면 탄식이 절로 나옵니다. 대통령 계엄령 사태로 시장은 한층 더 움츠러들고, 투자 심리는 이미 바닥을 찍었습니다. 그런데 반대로 이번 주 미국 증시는 말 그대로 "폭발적"이었습니다. S&P 500 지수가 역사적 고점을 경신하며 글로벌 자금이 미국으로 몰리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죠. 하지만 이 뜨거운 시장을 마냥 즐기기만 하기에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적지 않아 보입니다. 미국 증시는 왜 이토록 강한가? 지금의 미국 증시는 단순한 거품이 아닙니다. 빅테크 7대장 으로 불리는 기업들의 혁신이 주도하고 있죠. 특히 AI(인공지능)와 신기술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미국의 양호한 경제 성장률과 강달러는 글로벌 투자자들이 미국으로 몰리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
증시, 한국은 울상 미국은 호조(53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4. 12. 1. 11:00
미국 증시가 블랙프라이데이 효과와 더불어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연말 소비가 활기를 띠며 ‘산타 랠리’ 기대감이 고조되는 모습인데요.반면, 우리 증시는 반등의 기회를 잡지 못하고 연일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죠...(힘내자 대한민국!!) 미국 증시, 왜 이렇게 강할까? 미국 캘리포니아의 대형 아울렛은 블랙프라이데이를 맞아 쇼핑객들로 북적였습니다.이 소비 열기에 힘입어 다우와 S&P500은 모두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죠.게다가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국 반도체 추가 제제가 예상보다 약할 것이라는 보도가투자 심리를 더욱 부추겼습니다. 한국 증시, 왜 부진한 걸까요~? 반면, 우리나라는 내수 부진, 수출 둔화, 성장률 하향 등 악재가 겹치며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최근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 인하에도 ..
-
트럼프 2기,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52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4. 11. 24. 09:57
투자노트 52주차. 오늘은 경제학자인 조지프 스티글리츠 교수가최근 한 강연에서 트럼프 2기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에 직면할 가능성을 제기한 내용을 토대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경제적 이슈와 글로벌 흐름을 정리해봤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 현실이 될까?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이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발생하는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특히 그는 트럼프 2기의 경제 기조를 이렇게 요약했죠대규모 감세 정책: 억만장자와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감세는 미국 내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음막대한 재정적자: 감세로 인해 정부의 재정 부담이 늘어나고, 이는 인플레이션을 재점화할 수 있음💡 스태그플레이션이란?스태그플레이션은 경제가 침체 상태에 빠져 성장이 정체되는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