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
-
메모리 계층 구조Etc 2017. 3. 16. 15:48
메모리 계층 구조(Memory hierarchy)란 메모리를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로 나누어 둠을 의미한다[1]. 이때 필요란 대부분의 경우 CPU가 메모리에 더 빨리 접근하기 위함이다. 메모리 계층구조 도식도일반적으로 오른쪽 그림1과 같이 나타낸다. 레지스터와 캐시는 CPU 내부에 존재한다. 당연히 CPU는 아주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메모리는 CPU 외부에 존재한다. 레지스터와 캐시보다 더 느리게 접근 할 수 밖에 없다. 하드 디스크는 CPU가 직접 접근할 방법조차 없다. CPU가 하드 디스크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하드 디스크의 데이터를 메모리로 이동시키고, 메모리에서 접근해야 한다. 아주 느린 접근 밖에 불가능하다.
-
레지스터 개념Etc 2017. 3. 16. 14:32
프로세서 레지스터(영어: processor register, 순화 용어: 기록기) 또는 단순히 레지스터는 컴퓨터의 프로세서 내에서 자료를 보관하는 아주 빠른 기억 장소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계산을 수행중인 값을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대부분의 현대 프로세서는 메인 메모리에서 레지스터로 데이터 를 옮겨와 데이터를 처리한 후 그 내용을 다시 레지스터에서 메인 메모리로 저장하는 로드-스토어 설계를 사용하고 있다. 레지스터는 메모리 계층의 최상위에 위치하며, 가장 빠른 속도로 접근 가능한 메모리이다. 최신 프로세서에서 레지스터는 대개 레지스터 파일 로 구현되지만, 과거에는 플립플롭, 마그네틱 코어, 박막 필름 메모리 등으로 구현되기도 했다.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D%..
-
이직에 대한 단상( 김형준 님 글 )Etc 2017. 2. 13. 14:04
여러분들은 이직 시 회사 선택을 어떻게 하시나요? 이직을 결심하고 퇴사 통보는 어떻게 하고 동료들의 갖은 회유에 어떻게 반응하고 계신가요? 회사원에게 퇴사, 입사는 가장 큰 스트레스 중 하나 입니다. 퇴사를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회사를 선택해야 하고, 인터뷰도 봐야 하고, 현재 회사에 퇴사 통보 및 갖은 회유, 협박에 시달려야 한다. 새로운 회사에 입사 후에는 새로운 조직에 적응해야 하고 나름 자리를 잡아야 합니다. 이 모든 것들이 아주 큰 스트레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어떻게 새로운 회사를 선택했는지와 퇴사 시에는 이렇게 하는 것이 좋겠다 라는 개인적인 경험과 의견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http://www.popit.kr/이직에-대한-단상/ ==================================..
-
-
-
-
아파치 최적화 튜닝하는 법!Etc 2017. 1. 5. 09:44
웹 서버를 며칠간 재시작하지 않고 놔둬서 현재 서비스 상태를 파악하는 게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간단히 아파치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동시 소켓 연결 개수를 확인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명령합니다.$ netstat -nta | grep :80.*ESTABLISHED | wc -l 이 연결 개수는 아파치 서버가 현재 처리 중인 소켓 연결 개수이며 앞으로 설명할 MaxClients 수를 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그런데 아직 서비스를 시작하기 전이라 웹 서버의 부하를 확인하기가 어렵다면 아파치 벤치마킹 도구(ab)를 이용해볼 수도 있습니다.$ ab -n 3000 -c 200 http://example.com/ 위 명령어는 http://example.com 사이트에 200명의 사용자가 15번씩 총 300..
-
아파치 prefork, worker 란?Etc 2017. 1. 4. 15:14
리눅스에서 Apache 멀티 프로세스에 관련된 모듈(MPM)에는 대표적으로 worker / prefork 두가지가 있습니다. Prefork 방식 : 한 자식프로세스당 하나의 쓰레드를 사용하는 방법 기본 사용 메모리가 worker보다 높으며 프로세스 간 메모리를 공유하지 않는 독립 형태이므로 안정적임. 아파치 컴파일시 옵션 추가하지 않을경우 기본으로 이 모듈로 동작합니다. 1) 실행중인 프로세스 복제하여 실행 (메모리 영역까지 같이 복제)2) 프로세스가 소비하는 메모리가 많음.3) 응답프로세스를 미리 띄워놓고 클라이언트 요청 시 자식 프로세스가 반응하게 되는 방식.4) 안전하지 않은 제 3자가 만든 모듈 사용 가능5) 디버깅이 빈약한 플랫폼에서 쉬운 디버깅 가능6) 일반적으로 single CPU 또는 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