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
-
아피치 ab를 이용하여 웹 동시접근 테스트Etc 2017. 8. 11. 16:02
[유용한 옵션] -n requests Number of requests to perform for the benchmarking session. The default is to just perform a single request which usually leads to non-representative benchmarking results. 요청을 수행할 개수 -c concurrency Number of multiple requests to perform at a time. Default is one request at a time. 요청을 만들 개수로 동시 사용자 개념 -v verbosity Set verbosity level - 4 and above prints information on heade..
-
나보다 똑똑한 부하를 리드하는 방법Etc 2017. 7. 4. 09:56
현실적으로 많은 리더들이 자신보다 유능하고 똑똑한 부하 직원을 리드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 리더보다도 똑똑한 부하 직원을 잘 이끌어가면서 높은 성과를 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시카고 불스의 감독을 역임했고 현재 L.A.레이커스 감독을 맡고 있는 필 잭슨은 마이클 조던, 코비 브라이언트, 샤킬 오닐, 스카티 피펜 등 NBA 스타들을 이끌었던 명장 중의 명장으로 칭송받은 바 있다. 그 누구도 다루기 힘들 것처럼 보이던 농구의 천재들이자 농구계의 악동들로 구성된 팀을 리드하면서, 완벽한 팀웍을 이끌어내어 9차례의 우승을 거두었기 때문이다. 필 잭슨은 이기적이었던 농구 천재 마이클 조던의 성격을 고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삐걱거리던 코비 브라이언트와 샤킬 오닐을 명콤비로 만들어 우승의 신화를 ..
-
컴포넌트Etc 2017. 7. 3. 16:18
1) 프로그래밍이나 엔지니어링에서 말하는 컴포넌트란 더 큰 프로그램이나 구조물에서 식별 가능한 "일부분"이다. 대체로, 컴포넌트는 특정 기능이나 관련된 기능들의 조합을 제공한다. 프로그래밍 설계에서, 시스템은 모듈로 구성된 컴포넌트로 나뉜다. 컴포넌트 시험이란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모든 관련된 모듈이 상호 작동을 잘하는 조합인가 시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2)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과 분산객체기술에서의 컴포넌트는 재사용이 가능한 프로그램 빌딩 블록으로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형성하기 위해 같은 컴퓨터에 있거나 또는 네트웍 상의 다른 컴퓨터에 있는 컴포넌트들과 조합될 수 있다 (컴포넌트의 예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에서 하나의 단추, 이자계산을 위한 소형계산기, 어떤 DBMS interfa..
-
그린 스레드 란Etc 2017. 4. 14. 17:19
- Green Thread란? 그린 쓰레드는 자바가상머진(JVM)내에서 생성하는 쓰레드를 의미한다. 이 쓰레드는 JVM에 의해서 컨트롤된다. 따라서 시스템레벨에서 볼때는 커널 위에 JVM에 떠있고, 그 위에 다시 여러개의 Green thread가 작동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JVM을 거쳐서 작동하므로 성능상으로 오버헤드가 필연적으로 생긴다. 에전에 IBM에서 제작한 JDK는 이 green thread를 지원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것은 당연히 native thread만 지원하는 것이 되므로 성능상으로는 훨씬 좋았다. - Native Thread란? 위에서 그린은 JVM위에서 작동한다고 했으니 Native thread가 무엇인지 눈치 빠른 사람은 대충 눈치를 챘을 것이다. 그렇다. Native는 말그대로 순수..
-
-
패킷이란?Etc 2017. 4. 3. 09:57
패킷이란? 데이터의 묶음 단위로 한번에 전송할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제3계층 이상에서는 이 데이터 묶음을 패킷이라고 부르며, 제2계층에서는 프레임이라고 부릅니다. 이 패킷의 크기는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Ethernet은 최대 1500bytes크기를 갖고,IEEE 802.3표준에서는 최대 1492bytes크기를 갖습니다. 그렇다면 데이터를 보낼 때 처음부터 끝까지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보내면 좋을 텐데 왜 패킷 단위로 데이터를 나누어서 보내야 할까?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네트워크상에는 하나의 컴퓨터만 있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개의 컴퓨터가 있습니다. 이들은 서로 동시 다발적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게 되는데 만약에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지 않고 한번에 보낸다면 한 컴퓨터만 데이터를 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