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거리, 세계경제 흐름을 내다보자 Part2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4. 5. 18. 12:15반응형
※기준:: 2024년 5월 현시점을 토대로 작성
IMF는 향후 5년 동안 세계 경제가 저성장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예상보다 경제 회복 속도가 느리고, 저성장이 고착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라 볼 수 있습니다...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
IMF는 매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예측합니다. 과거에는 향후 5년 동안 세계 경제 성장률을 4.5%에서 5%로 전망했지만, 코로나19 이후 이 수치는 점차 하락해 현재는 3%대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는 세계 경제가 저성장 기조로 진입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경제 분절화와 탈세계화
IMF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경제는 분절화(Divergence)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글로벌 경제가 둘로 쪼개지듯 각 국가의 경제 성장률이 다르게 전개될 것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렇담 IMF는 세계경제를 어떻게 예측하고 있을까요?!
- 선진국(AE): 선진국의 경제 성장률은 비교적 안정적이며, 일부 국가들은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 중국: 과거보다 크게 둔화될 것으로 예상
(2008년에는 10% 성장을 전망했으나, 현재는 3% 수준으로 예측 중) - 기타 신흥국(G20): 중국을 제외한 G20 신흥국들의 성장률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
- 저소득 국가(Developing Countries): 이들 국가의 성장률도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2008년 IMF 보고서에서는 주요 국가들의 향후 5년간 경제 성장률을 높게 전망했으나, 2024년 현재 보고서에서는 대부분의 국가들이 당시보다 낮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지정학적 이슈나 체감되는 경제만 봐도 누구나 예상 가능한거 아닌가 싶은... 하하하하)
저성장 고착화의 원인을 알아야 세계경제 흐름을 알 수 있겠죠~?
(지난 part1에서 다뤘던 노동, 자본, TFP를 곱씹어 보기...)
- 노동 투입: 노동 인구나 생산 연령 인구의 감소가 원인
- 자본 투입: 해외 직접 투자 유입액 감소와 기업의 신규 투자 감소 등이 영향
- 총요소생산성: 기술 수준, 교육 수준, 제도적 혁신 등이 포함되며, 동일한 인풋으로 더 많은 아웃풋을 창출하는 능력을 의미
Part1, 이전 글을 읽지 못하셨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결론
경제가 전반적으로 둔화 중이며 선진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들이 과거보다 낮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는 현 시점 이대로 비관론에 갇히지 마시고 IMF를 통해 알게된 세계경제를 학습거리로 삼아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나가시길 바라요
반응형'경제적자유 > 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 상위 1%의 부와 저소득층의 양극화 (25) 2024.05.29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하 기대의 모순(by Michael Kramer) (25) 2024.05.22 학습거리, 세계경제 흐름을 내다보자 Part1 (23) 2024.05.17 현 시점 환율과 기준금리 어떻게 바라봐야 할 것인가? (feat. 2024.05) (29) 2024.05.16 알아두면 좋을 돈의 흐름(by 곽수종박사) (31) 2024.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