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뢰 바닥난 절세계좌(61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5. 2. 10. 07:20반응형
요즘 투자 커뮤니티를 보면 이런 말이 심심찮게 들려온다.
"정부가 투자자들을 부자로 만들 생각이 없는 것 같다."
"국내 시장에서 돈 벌기 너무 힘들다. 해외로 갈까?"ISA와 연금계좌를 통해 세금을 덜 내면서 투자할 수 있을 줄 알았는데, 정부의 정책 변화가 예상보다 복잡하게 돌아가고 있다. 특히 해외 펀드에 투자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세금 이슈가 점점 더 커지는 분위기다.
ISA 세금, 진짜 절세 효과 있는 거야?
정부는 이번 개정을 통해 ISA 계좌에서 해외 펀드 투자 시 외국에서 납부한 세금을 일정 부분 공제해주는 방식을 도입했다. 한마디로 이중과세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건데, 이게 마냥 반가운 소식은 아니다....
ㅁ 기존 방식: 해외에서 세금을 내고, 국내에서 추가로 원천징수 → 일부 환급 가능
ㅁ 새로운 방식: 해외에서 낸 세금을 "크레딧"처럼 쌓아두고, ISA 만기 시 세금에서 차감이 방식이 도입된 이유는 간단하다. 정부 입장에서도 이중과세는 문제였지만, 기존처럼 국고에서 보전해주는 방식은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이번 개정이 무조건 투자자들에게 유리한 건 아니다.
💡 핵심 포인트
o 외국에서 떼인 세금이 국내 세금보다 많으면? → 일부 환급 가능
o 국내에서 떼야 할 세금이 더 크면? → 추가 납부해야 할 수도 있음
o 모든 해외 펀드의 원천징수 세율을 14%로 간주 (하지만 미국은 15%, 일본·중국은 10% 수준)
o 손실이 난 펀드도 외국납부세액 공제 가능정부는 이 방식이 공평하고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보지만, 투자자들 입장에선 오히려 더 복잡한 절차와 불확실성이 생겼다는 반응이 많다.
"ISA가 세금 혜택이 있다고 해서 가입했는데, 결국 세금을 얼마나 아낄 수 있는지 계산조차 하기 어려워졌다. 그냥 해외 계좌
로 직접 투자하는 게 낫지 않나?"이런 반응이 나오는 이유는....
o ISA는 만기(3~5년)까지 보유해야 하는데, 그동안 세법이 또 바뀔 가능성이 있음
o 연금계좌는 10~30년 이상 운용하는데, 세금 크레딧이 미래에도 같은 방식으로 공제될지 불확실함
o 투자자 입장에서 공제율(14%)이 일괄 적용되지만, 실제로는 국가별 세율이 다르기 때문에 손해 보는 경우가 생길 수 있음
<<매매일지>>
BND 3주, TIGER미국S&P500 10주, VOO 5주 매수 / SPLG 44주 매도 하였습니다.
"SPLG에서 VOO로 갈아타다:"를 통해 다뤘던 SPLG 매도는 양도소득차에서 세금 250 공제 컷트라인에 맞게 매도하였답니다.
SPLG에서 VOO로 갈아타다(56주차)
최근 SPLG ETF에서 VOO로의 갈아타기를 고민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여러 관점에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보았습니다. SPLG가 초창기에 러셀 1000 지수를 추종하다가 S&P 500으로 지수를 변경한 점은 장기투
itmore.tistory.com
본 콘텐츠에서 다뤘던 세제혜택과 관련해서 말말말이 많아 각자의 포트폴리오를 점검해보는 시기이기도 하지만 그래도 저는 적립식투자는 꾸준히 하자는 마인드라 변함 없이 계속 매수를 이어나가며 각자 경제적 자유를 향해 한주가도 열심히 모아가고가 한답니다^^!
<<차주 경제>>
2025.02.10 ~ 2025.02.14 ▲2025.02.12(수)
- FED 의장, 파월 증언
▲2024.12.13(목)
- FED 의장, 파월 증언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끝맺음은 항상 장투할 수 있는 유익한 글귀로~!
투자의 성공여부는 얼마의 기간 동안 세상의 비관론을 무시할 수 있는지에 달렸다
- 피터 린치반응형'경제적자유 > 지속하자 투자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발 관세폭탄, 시장은 어떻게 반응할까?(60주차) (0) 2025.02.03 보호무역주의, 세계 경제의 새로운 변수?(59주차) (0) 2025.01.19 트럼프의 어메리칸 퍼스트 (58주차) (2) 2025.01.13 2025년, 미국 경제에서 주목할 3가지 포인트(57주차) (19) 2025.01.03 SPLG에서 VOO로 갈아타다(56주차) (36) 2024.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