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아파치 prefork, worker 란?Etc 2017. 1. 4. 15:14
리눅스에서 Apache 멀티 프로세스에 관련된 모듈(MPM)에는 대표적으로 worker / prefork 두가지가 있습니다. Prefork 방식 : 한 자식프로세스당 하나의 쓰레드를 사용하는 방법 기본 사용 메모리가 worker보다 높으며 프로세스 간 메모리를 공유하지 않는 독립 형태이므로 안정적임. 아파치 컴파일시 옵션 추가하지 않을경우 기본으로 이 모듈로 동작합니다. 1) 실행중인 프로세스 복제하여 실행 (메모리 영역까지 같이 복제)2) 프로세스가 소비하는 메모리가 많음.3) 응답프로세스를 미리 띄워놓고 클라이언트 요청 시 자식 프로세스가 반응하게 되는 방식.4) 안전하지 않은 제 3자가 만든 모듈 사용 가능5) 디버깅이 빈약한 플랫폼에서 쉬운 디버깅 가능6) 일반적으로 single CPU 또는 Du..
-
L4 로드밸런싱 방법네트워크 2017. 1. 2. 15:50
1. Round Robin - Real Server로 session을 순차적으로 맺어주는 방식. - 현재의 서버가 가지고 있는 session수는 관여하지 않음. - weighting 옵션이 지원됨. 모든 클라이언트는 동일하게 취급되며 실서버 혹은 경로는 같은 처리량을 보유해야 함. SLB에 많이 사용되며 만약 각기 다른 처리 능력을 가진 서버가 있을 경우 weigted round-robin 알고리즘이 더 효율적. roundrobin은 리얼서버의 마지막 번호를 가진 서버로부터 출발하여 순차적으로 세션을 맺도록 해주는 로드밸런싱 기법. 예를 들어 5대의 서버가 있다면.. 5, 4, 3, 2, 1, 1, 2, 3, 4, 5, 4, 3, 2, 1........ 위와같은 순서로 로드밸런싱 하게 됨. 특별한 서비스..
-
마샬링 + 직렬화 + 코드베이스 + 캐시 개념Etc 2016. 11. 17. 13:42
마샬링 - 한 객체의 메모리에서의 표현방식을 저장 또는 전송에 적합한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 데이터를 컴퓨터 프로그램의 서로 다른 부분 간에 혹은 한 프로그램에서 다른 프로그램으로 이동해야 할 때도 사용된다. 직렬화 - 직렬화(스트림으로)란 객체를 데이터 스트림으로 만드는 것을 뜻한다. 즉, 객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스트림에 쓰기 위해 연속적인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직렬화 적용 분야 직렬화가 적용되는 분야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파일 저장소 (File storage) : 프로그램 실행 중에 생성된 데이터를 영구 저장소(파일 시스템) 등에 저장한 후, 이후에 프로그램이 다시 실행되었을 때 저장된 데이터를 메로리 상에 객체(혹은 구조체) 형태로 복구해 사용한다. 네트워크 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