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node.js 폴링,롱 폴링,핸드세이킹Node.js 2017. 4. 5. 09:22
폴링(polling) - 하나의 장치(또는 프로그램)가 충돌 회피 또는 동기화 처리 등을 목적으로 다른 장치(또는 프로그램)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일정한 조건을 만족할 때 송수신 등의 자료처리를 하는 방식을 말한다 롱 폴링 - HTTP 요청 시 서버는 해당 요청을 일정 시간 동안 대기 시킵니다. 만약, 대기 시간 안에 데이터가 업데이트되었다면, 그 즉시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보내고 전달받은 데이터를 처리 후 서버로 재요청을 시작합니다. - 데이터 업데이트가 빈번한 경우에는 폴링 보다 이점이 크지는 않다. - 데이터 업데이트가 빈번한 경우엔 폴링에 비해 성능상 이점이 크지 않습니다. 출처: http://mohwaproject.tistory.com/entry/ㅁㅁㅁ [무하프로젝트]- HTTP 요청 시..
-
-
패킷이란?Etc 2017. 4. 3. 09:57
패킷이란? 데이터의 묶음 단위로 한번에 전송할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제3계층 이상에서는 이 데이터 묶음을 패킷이라고 부르며, 제2계층에서는 프레임이라고 부릅니다. 이 패킷의 크기는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Ethernet은 최대 1500bytes크기를 갖고,IEEE 802.3표준에서는 최대 1492bytes크기를 갖습니다. 그렇다면 데이터를 보낼 때 처음부터 끝까지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보내면 좋을 텐데 왜 패킷 단위로 데이터를 나누어서 보내야 할까?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네트워크상에는 하나의 컴퓨터만 있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개의 컴퓨터가 있습니다. 이들은 서로 동시 다발적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게 되는데 만약에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지 않고 한번에 보낸다면 한 컴퓨터만 데이터를 주고..
-
-
node.js 디버그 모드(debug 패키지 활용) 명령어Node.js 2017. 3. 30. 23:27
next :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을 계속하고, 같은 스코프 내 다음 명령에서 실행을 멈춘다. step : 함수 호출안으로 들어가고 싶을때에 사용. backtrace: 호출 스택 상태 보기. watch: 감시할 변수값 지정 ex) watch(변수) watchers: watch에서 지정한 변수를 감시할 수 있게 해준다 sb : 브레이크 포인트를 지정 하고 싶을때 사용 ex) sb(해당 js명 , 지정하고 싶은 라인) cont : 지정한 브레이크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