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자유
-
연준 금리, 결국 9번째 동결...휴...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4. 8. 1. 08:10
연준은 31일 열린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5.25~5.50%로 동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시장의 예상과 부합하는 결과로, 연준이 현재 경제 상황을 신중하게 관망하며 인플레이션과 경제 성장을 균형 있게 관리하려는 의도를 나타낸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이번 동결 결정은 연준이 9번째 기준금리 동결을 한 것으로, 인플레이션이 어느 정도 완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평가와 함께 이루어졌습니다. 연준은 앞으로도 고용과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에 중점을 두면서 경제 지표와 전망을 지속적으로 평가해 나갈 것으로 보여지네요... 더불어... "이제는 고용에 관한 책임을 챙겨야 할 시점"이라며 금리 인하가 다가올 수 있음을 암시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금리 인하가 9월 FOMC의 테이블 ..
-
美 2분기 성장에도 증시는 혼조세?(37주)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4. 7. 29. 08:20
美 경제가 연율 2.8%의 성장률을 기록하였네요? 1분기의 1.4% 성장률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이죠~ 그리고 미국 상무부에 의하면 이번 성장세가 민간 재고 및 기업 투자, 개인 소비 확대 덕분이라고 분석하였다죠?(내구재와 서비스 지출의 증가가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여짐) 그러나 애석하게도? 투자자들간의 엇갈린 전망이 다소 있었는지 S&P500과 나스닥은 각각 0.51%와 0.93%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아마도? 일부 투자자들은 단기 낙폭 과대 상황에서 저가 매수를 시도하는 반면, 다른 투자자들은 올해 상승률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고 보았던거 같습니다. 결론투자자들이 경제 회복의 지속 가능성과 인플레이션 둔화의 실효성에 대해 엇갈린 견해를 갖는 바람에 2분기 성장에도 불구하고 증시는 혼조세를 보였..
-
美의 통화 패권 유지 전략? (feat. 디지털달러)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4. 7. 26. 08:15
거시경제속 뒤숭숭한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2024년... 잊을만하면 거론되는 세계 패권 다툼... 이제는 전쟁뿐만 아니라 통화에도 하루와 다르게 바뀌어가는 정세 가운데 언제나 그러했듯 다시금 도마위로 올라온 통화 패권을 짚어보는 Time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주요 다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디지털 달러 도입의 주요 이유 2. 비트코인의 독자적 특성과 도전 디지털 달러와 비트코인의 관계는 복잡하고 다층적입니다. 두 개념은 때로는 상호 보완적이지만, 동시에 서로 경쟁하는 측면도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디지털 달러 도입을 추진하는 주요 이유와 그로 인한 비트코인과의 관계에 대해 짤막하게라도 인지하고 계시다면 앞으로 저와 여러분의 경제적 자유라는 목표 달성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
-
경제 연착륙을 위한 새로운 신호(36주)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4. 7. 21. 11:30
말말말!!! 금리인하가 조만간 이뤄질거 같음을 암시하는 파월의장의 말말말이 앞으로 경제 가운데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기대되는 한 주였습니다. 파월 의장은 최근 발표된 경제 데이터를 통해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인 2%에 도달할 것이라는 확신을 얻었으며, 이는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이고 있지요^^! 물가 안정과 노동 시장 위험의 균형고금리가 경제 성장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고 "긴축적인 정책을 너무 오래 유지하는 것이 경제 활동과 고용을 과도하게 약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하며, 금리 인하의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 최근의 경제 지표는 물가와 고용이 훨씬 나은 균형을 이루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파월 의장은 "최근 3개월의 경제 지표, 특히 지난주 지표는 어느 정도 자신감을 더해준다"며 "인플레..
-
금리 정책 방향 전환의 시작? (35주)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4. 7. 15. 08:12
지난 파월의 증언에 따르면 연준의 금리 정책 방향에 대한 중요한 신호를 보냈습니다. 일명 '금리 피벗(통화정책 전환)'의 시작을 알렸다고 볼 수 있죠 (짝짝짝) 그렇담 시장은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요?! 1. 국채 수익률 상승2. 3대 지수 오후 장 초반 일제히 오름세를 보였으나, 파월 발언 뒤 상승 폭이 좁혀지며 다우존스산업평균은 약보합세로 돌아섰었음3. S&P500 및 나스닥 최고 기록 달성 (꺄르르르르르) 그의 발언을 조합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고금리, 오래가면 위험美 경제가 여전히 탄탄하다고 전제하면서도, 노동 시장이 다소 냉각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강력하다고 평가하였고 "인플레이션은 어느 정도 진정되었고,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낮추고 노동시장 과열을 진정시키는 데 성공했기 때문에 이제는 금리..
-
美Job Reporter 3분기 전망(by Dan Kemp)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4. 7. 9. 08:12
세월이 호다닥 지나가 어느덧 2024년 3분기가 시작됨에 따라 경제와 시장 참여자들의 주목을 받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인 미국 일자리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우리는 이를 토대로 어떻게 준비하고 앞을 내다봐야할지 알아보는 Time을 갖겠습니다. 짝짝짝 글로벌 최고 리서치 및 투자 책임자인 당신을 통해 주요 시장 성과와 경제 동향에 대한 통찰력을 얻고 싶습니다. 글쓴이댄 캠프 Dan Kemp Q: 2024년 상반기 동안 연준의 인플레이션 통제 노력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십니까?연준은 인플레이션 통제에 상당한 진전을 보였습니다. 핵심 PCE 인플레이션 측정치는 지난 12개월 동안 2.8%에서 2.6%로 하락했으며, 이는 연준의 정책이 예상대로 작동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와 같은 인플레이션 완화는 채..
-
美대선 S&P500 상관관계?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4. 7. 8. 08:10
미국 대선이 다가오면서 증시 전문가들 사이에서 S&P500 지수가 연말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과거 데이터를 보면 대선이 있는 해의 하반기에는 S&P500 지수가 상승하는 경향이 뚜렷했기 때문이죠... 이쯤 생기는 궁금증, 우리가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은 무엇일까요? 1. 대선이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2. 이러한 현상이 왜 발생할까?3. 짐착해볼 수 있는 전망은? 과거 대선과 S&P500 지수의 상관관계지난 10회의 미국 대선 중 7회에서 S&P500 지수는 하반기 시작부터 투표 전달까지 상승했습니다. 주요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1984년: 로널드 레이건이 대통령에 당선된 해로, 이 기간 동안 S&P500 지수는 8.43% 상승1996년: 빌 클린턴이 재선된 해..
-
美증시 연일 치솟네유~ (34주)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4. 7. 7. 11:30
고용지표 부진, 민간 고용 감소, 금리 인하 기대감 상승, 서비스업 경기 둔화 등등...많은 변화가 있었던 상황속 美증시는 연일 불안하게 여겨질만큼 치솟았던 한 주 였습니다.. 그렇담 여기서 빼놓을 수 없는 국채 현재 상황은 과연 어떠할까요? 뚜둥..."국채 금리 하락"노동시장과 서비스업 경기 둔화로 금리 인하 기대감이 확산되면서 국채 금리는 하락세를 보였습니다.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8bp 내린 4.35%,미 국채 2년물 금리는 3bp 떨어진 4.73%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 뉴욕증시는 고용지표 부진과 금리 인하 기대감 사이에서 혼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대형 기술주의 상승세와 국채 금리 하락이 맞물리면서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그러나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