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
현 시점 환율과 기준금리 어떻게 바라봐야 할 것인가? (feat. 2024.05)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4. 5. 16. 07:07
최근 한국 환율이 1300원대를 유지하면서 경제 상황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이런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낮추는 것이 맞는 것인지 한발짝 물러서서 조심스럽게 여겨야 할 필요가 있어보이는 게 현 상황이지 않나 싶습니다... 왜냐하면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는 미국보다 2% 낮으며, 이는 국내 저축이 미국으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으며 금리를 낮추면 국내 유동성이 축소되고, 부채가 많은 가계와 기업, 특히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문제가 더 심각해질것이기 때문이죠... 이는 결국 신용 파괴를 촉발시키고 경제 내 유동성을 감소시켜 많은 기업과 가계가 생존하기 어려운 경제를 양산할 것입니다... 파이낸싱(PF)가 무엇인디?! "대규모 프로젝트(예: 인프라, 에너지, 부동..
-
원화야 어디까지 떨어질 전망이니?!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4. 4. 24. 07:17
1달러에 14,000원?!' 한국은행과 정부가 '비상' 상황을 선포하며, 이례적으로 원달러 환율이 상승했습니다. 원화의 가치 하락은 주요 국가 중에서 일곱 번째로 크게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환율 상승은 미국 경제의 호황과 연준의 금리 인하 지연 전망으로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정부와 한국은행은 비상 대응에 나서고 있네요...) IMF는 현재의 환율 변동 상황을 크게 우려하지 않는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환율의 향배는 중동의 사태에 많이 달려있으며....ㅠㅠ 지정학적 위기가 안정되지 않는 한 환율은 계속해서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두 가지 주요한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첫째로, 글로벌 경제 상황과 관련된 뉴스와 이벤트를 주시하며 미국과 중..
-
투자노트 11주차. 환율아 떨어져 다오!!!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4. 1. 30. 08:30
적금을 해지하며 생긴 이자금을 환전하여 재투자 하려는데.... 맙소사 환율이.... 2.2원 오른 1338.5원으로 시작했으니.... 허허 이런데 굳이 급하게 주식을 매수할 의미가 있나 싶어, 망설이다 결국 계좌에 방치하기로 결정했답니다. 다가오는 1월31일 FOMC 발표를 통해 증시, 환율에도 적잖은 영향이 있을 것을 기대하며 매수 심리를 강제로? 억제해야 조금더 소소한 재미를 보겠죠^^? 여하튼... 이번주엔 국내 TIGER 미국 S&P500만 매수하는 꼴이 되었답니다. 어느새 60주를 보유하게 되어 무척 보람감이 뿜뿜 (2024.01.29 ~ 2024.02.02) ▲2024.01.31(수) - CB 소비자 신뢰지수 - 노동(구인, 이직) 보고서 -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2024.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