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
연준 금리, 결국 9번째 동결...휴...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4. 8. 1. 08:10
연준은 31일 열린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5.25~5.50%로 동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시장의 예상과 부합하는 결과로, 연준이 현재 경제 상황을 신중하게 관망하며 인플레이션과 경제 성장을 균형 있게 관리하려는 의도를 나타낸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이번 동결 결정은 연준이 9번째 기준금리 동결을 한 것으로, 인플레이션이 어느 정도 완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평가와 함께 이루어졌습니다. 연준은 앞으로도 고용과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에 중점을 두면서 경제 지표와 전망을 지속적으로 평가해 나갈 것으로 보여지네요... 더불어... "이제는 고용에 관한 책임을 챙겨야 할 시점"이라며 금리 인하가 다가올 수 있음을 암시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금리 인하가 9월 FOMC의 테이블 ..
-
美의 피벗 가능성과 경제 전망(30주)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4. 6. 9. 09:18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기준금리 인하 흐름과 그에 따른 경제적 영향은 어떠할까요? 캐나다와 유로존을 필두로 주요 국가들이 기준금리 인하를 시작하면서, 미국의 통화정책 변화 가능성에도 큰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그전에 잠시~ 피벗이란 무엇일까요?"경제와 금융에서 중요한 정책 변화나 전략적 전환을 의미" 캐나다와 유로존의 기준금리 인하최근 G7 국가 중 가장 먼저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한 캐나다는 5일 기준금리를 5%에서 4.75%로 인하했습니다. 이는 4년 3개월 만의 첫 인하로, 추가 인하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습니다. 바로 다음날, 유럽중앙은행(ECB)도 기준금리를 4.5%에서 4.25%로 내렸습니다. 이는 2022년 7월 첫 금리 인상 이후 약 2년 만의 인하 결정입니다. 영국, 스웨덴,..
-
현 시점 환율과 기준금리 어떻게 바라봐야 할 것인가? (feat. 2024.05)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4. 5. 16. 07:07
최근 한국 환율이 1300원대를 유지하면서 경제 상황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이런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낮추는 것이 맞는 것인지 한발짝 물러서서 조심스럽게 여겨야 할 필요가 있어보이는 게 현 상황이지 않나 싶습니다... 왜냐하면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는 미국보다 2% 낮으며, 이는 국내 저축이 미국으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으며 금리를 낮추면 국내 유동성이 축소되고, 부채가 많은 가계와 기업, 특히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문제가 더 심각해질것이기 때문이죠... 이는 결국 신용 파괴를 촉발시키고 경제 내 유동성을 감소시켜 많은 기업과 가계가 생존하기 어려운 경제를 양산할 것입니다... 파이낸싱(PF)가 무엇인디?! "대규모 프로젝트(예: 인프라, 에너지, 부동..
-
기대에 불과했던 조기 기준금리 인하...(23주차)경제적자유/지속하자 투자노트!! 2024. 4. 22. 07:55
연이어 기준금리 인하 기대에 자영업자들도 크게 안도의 한숨을 내쉴 수 있었고 시장도 오름세를 이어나갔지만 결국 판타지안 일이 일어나긴 사실상 힘들어진 상황에 직면한 파월 의장의 발언이 있었던 한 주죠? 파월 의장은 현재의 긴축 정책을 유지하며 경제의 안정성을 높이기로 결정했으며, 인플레이션과 노동 시장의 강세를 고려하여 제한적인 정책이 적절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따라 시장은 6월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를 접고, 올해 금리 인하 시기를 더욱 불확실한 상황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파월 의장의 발언이 시장에 충격을 주었지만, 안정성을 추구하는 연준의 결정은 미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됩니다. 투자자들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를 조정하고, 미국 경제의 강세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안전자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