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자유
-
13월의 월급 어디에 지출하셨나요?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5. 3. 27. 07:23
🚀 연말정산 환급금 다들 어디에 쓰셨나요?예상 환급금 입금일을 앞두고 "재투자로 내 노후를 더 자유롭게 만들어라~" 라 신신당부 하는 재테크 일타강사? 들의 말이 떠오르기 시작합니다,,, 말이야 쉽지 소비 유혹 이겨내는게 쉽지 않습니다. (결국 입금받고 셀프 위로로 홍게 무한리필집으로 달렸습니다ㅋㅋㅋ) 하지만 경제적 자유 달성이라는 목표로 시작한 투자인 만큼 이제는 과거 소비 습관에 벗어나자는 굳은 의지가 잘~ 발동? 되었습니다? 연금저축펀드 600만원, IRP 300만원 각각 넣어 얻은 13월의 월급을 재투자 한 위 인증? 스샷을 보니 괜시리 뿌듯해집니다 헤헤;; 왜 나는 환급금을 소비하지 않고 재투자했을까? 사실, 연말정산 환급금은 마치 ‘보너스’처럼 느껴지기 쉽습니다.많은 사람들이 이 돈으로 ..
-
나의 퇴직연금 운명은?경제적자유/함께 성장이라는 복리의 마법 2024. 11. 6. 10:01
최근 여야 정치권이 퇴직연금을 국민연금공단에 맡기자는 의견을 내면서 이로 인해 퇴직연금의 수익률과 구조적 차이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의 최근 10년 연평균 수익률이 5.7%에 달하는 반면, 퇴직연금은 2.1%에 머물러 있다는 점에서 비롯된 논의입니다. 퇴직연금이 주로 원리금 보장형 상품에 집중되어 있어 낮은 수익률을 기록하는 반면, 국민연금은 보다 다양한 자산군에 분산 투자하고 있습니다.그러나 이러한 '단순 통합' 논의에는 중요한 위험 요소가 잠재되어 있습니다. 국민연금의 고수익률 이면에는 더 높은 리스크가 수반되며 퇴직연금과 국민연금의 구조적 차이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요인입니다. #수익률과 위험의 관계 국민연금의 최근 높은 수익률은 상당 부분 미국 주식시장 상승 덕분입니다. 하지만 주식과 대체..